
산림훼손 논란에 휘말린 동부권 육상풍력단지도 비슷한 처지에 몰렸다. 정읍·임실·순창 장군봉~무주 삼봉산에 이르는 동부권 산자락 6곳에 대규모 풍력단지를 건설토록 계획된 곳이다.
하지만 환경부는 앞서 첫 사업지인 무주 삼봉산지구 인허가를 불허한데 이어, 내년 초께 그 건설기준안을 새로 만들어 허용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결국 그 허용여부에 따라선 사업 정상화, 또는 원점 재검토가 불가피할 조짐이다.
서남해안 해상풍력도 안갯속이다. 그 기자재를 실어나를 군산항 물류항만 건설공사부터 차질 빚어진 탓이다. 문제의 물류항만은 당초 11월 착공토록 계획됐지만 여지껏 인허가조차 못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 요인은 해상풍력 사업권자인 지식경제부와 항만 관리권자인 국토해양부간 이견 충돌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도 관계자는 이를놓고 정확한 배경은 함구한 채 “관계부처와 원만히 조율해 내년 상반기 중에는 착공토록 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이밖에 새만금권 태양광단지도 삐거덕 거리고 있다. 이 가운데 핵심 투자사인 OCI는 10조 원대 새만금 태양광소재 생산라인 건설계획을 내년 5월 재 검토하겠다고 미뤘고, 태양광으로 특화된 부안 신재생에너지단지는 지난해 말 준공이래 분양률은 여전히 71%에 머물렀다.
한편 전남도는 군산항의 풍력발전 물류항만 11월 착공이 불발되자마자 목포항을 그 거점항만으로 만들겠다며, 지난달 30일 CJ대한통운과 총 2,000억원 규모의 투자협약을 맺고 이같은 개발계획을 발표했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
저작권자 © 새전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