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3일 18:50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교육 혁신으로 지역발전 도모...교육발전특구 협약

전북도-도교육청-기초단체-대학-기업 힘 모아 도전
도지사, 교육감 공동위원장...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지정 총력


기사 작성:  복정권 - 2024년 02월 01일 15시29분

IMG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1일 2층 강당에서 전북특별자치도와 5개 시·군, 대학, 기업 등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전북교육청 제공



교육혁신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교육발전특구’에 전북 5개 시군이 힘을 모아 도전장을 내민다.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은 1일 2층 강당에서 전북특별자치도와 5개 시·군, 7개 대학, 7개 기업 및 유관기관과 교육발전특구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교육발전특구는 지방자치단체와 교육청, 대학, 기업,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지역 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지역교육 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정주환경 조성까지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다.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교육발전특구는 유형별로 기초지자체장과 교육감이 신청주체인 1유형, 광역지자체장과 교육감이 신청주체인 2유형, 2개 이상 시군과 도지사·교육감이 신청하는 3유형이 있다.

전북은 3유형으로 전북자치도와 익산·남원·완주·무주·부안이 공동 신청한다.

익산은 지역교육공동체 협업을 통한 공공형 보듬 커플링 특구 조성, 남원은 늘봄학교로부터 글로컬 K-산업 일자리까지 일체형 교육정주도시를 조성하는 내용이다.

완주는 지역인재로의 성장과 지속 가능한 지역정주 생태계 조성, 무주는 태권시티 무주, 무주군 태권도 교육발전 특구, 부안은 국산밀 베이커리 교육·산업 특구 등 지역 특성에 맞춘 모델을 내놓았다.

교육발전특구를 통해 지역의 우수 인재를 양질의 공교육을 통해 지역에서 양성하고 취업도 지역에서 이뤄지는 선순환 체계로 균형발전과 인구 소멸에 적극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협약에 참여한 기관들은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운영기획서 마련, 교육 발전전략 수립, 지역인재 양성 시스템 구축, 공교육 분야 지원 확대, 지역 균형발전과 정주여건 개선 등을 위해 적극 협력한다.

시범지역은 다음 달 9일까지 신청하면 지방시대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교육부에서 3월 초에 최종 지정된다.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에 선정되면 지역이 실정에 맞는 발전전략을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특구당 30~100억 규모의 교육부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수 있고, 시범지역 운영은 3년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서거석 전북특별자치도교육감을 공동위원장으로 익산시, 남원시, 완주군, 무주군, 부안군 등 5개 시․군 지자체장, 군산대, 우석대, 원광대, 원광보건대, 전북대, 전주대, 전주비전대 총장이 참여했다.

또한 완주산단진흥회, 현대차, 한풍제약, 대두식품, 캠틱,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태권도진흥재단 등 유관기관과 지역기업 7곳이 함께 참여해 교육발전특구 추진에 힘을 보태기로 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인구감소에 따른 지역소멸 위기는 교육과 함께 하지 않으면 바꿀 수가 없는 문제로 지자체, 대학, 기업의 상호간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면서 “이번 협약이 기관간 모든 역량을 결집, 지역을 혁신할 수 있는 전북형 교육발전특구 모델을 만들어 전북특별자치도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서거석 교육감은 “인구절벽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교육기관, 지자체, 기업, 지역사회가 협력해야 한다”며 “전북특별자치도와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추진할 교육발전특구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모델로 자리 잡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복정권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복정권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