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3일 18:50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사설] 한글 간판 문화정책 시급

전주 곳곳에 외국어 간판 난립
한글 간판 특화거리 지정 등 변화 필요


기사 작성:  새전북신문 - 2025년 04월 14일 08시01분

전주시 도심 곳곳에 외국어 간판이 난립하면서 한글 간판 문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온혜정(우아 1·2동, 호성동) 전주시의원은 11일 제419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발언을 통해 “전주지역 곳곳의 외국어간판을 한글간판으로 교체하는 ‘한글간판 문화정책’을 추진해 진정한 전통의 가치를 되새겨야 한다”고 했다.

오늘날 전 세계는 한국문화의 매력에 열광하고, 한국의 전통문화를 간직한 전주가 그 중심에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거리 곳곳에 한글보다 외국어 간판이 더 많다. 겉으로 한옥과 한복, 전통음식을 내세우며 우리의 글자를 외면한다면, 이는 전통의 외형만을 차용한 ‘전시용 문화’에 불과하다. 외형적 볼거리에만 국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진정한 전통의 의미를 고민해야 한다.

많은 전통문화와 양식이 존재하지만, 언어와 문자는 민족의 문화적 뿌리와 가치를 집약한 것이다, 우리의 한글은 가장 독창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한글을 지키는 것은 우리의 전통정신과 정체성을 계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 의원은 ‘한글간판 문화정책’을 추진할 것을 촉구하며 △한글간판 사용에 대한 제도적 강화 필요성 △한글간판으로 교체를 위한 실질적 지원 △한글간판 문화 운동 추진 등을 제시했다.

한옥마을이나 풍남문, 전주향교 등 역사문화 가치가 높은 지역을 ‘한글간판 지구’ 혹은 ‘한글간판 특화거리’ 등으로 지정해야 한다.

한글간판 거리를 형성해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하나의 문화상품 ‘읽히는 전통’을 선보여야 한다. 안타깝게도 알파벳, 한자, 일본의 가타카나와 히라가나 등 외국 문자로 쓴 간판과 상호 문제는 어찌할 방도가 없다. 현실은 개인 상점뿐만 아니라 공공기관조차도 알파벳으로 쓴 기관명을 홍보하거나 간판을 내걸다 보니 한글 애용 정책이 무색할 뿐이다. 생계와 기업의 이익을 위해 외국 문자로 만든 간판과 홍보물을 무조건 비난한다는 것은 더 이상 현실적이지 않다. 한글 애용과 보호를 국가가 아닌 국민 개개인의 가치관에 맡겨야 한다는 현실은 조금 씁쓸하다.

지역 예술인들과의 협업을 통한 특색있는 한글간판 도안 제공 및 설치에 대한 상담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지원사업을 모색해야 한다. 시민들과 함께 한글간판 달기 운동, 아름다운 한글간판 공모전 등을 진행한다면 전통문화도시 시민으로서 자긍심을 느낄 수 있으리라. 한글은 우리의 문화 그 자체이기에 거리의 간판에서부터 한글을 되살리는 일은 작지만 위대한 문화 부흥의 시작이다. 길 위에서, 간판 위에서 한글이 살아 숨쉬는 전통문화도시 전주로 거듭나야 한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새전북신문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