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북 여성 노동환경 개선해야
남성과 임금격차 109만원에 불과
성별격차 해소 위한 제도 시급
전북 도내 여성 노동들의 임금이 205만원으로 남성보다 109만원 적었다. 저임금 여성 노동자 11만명으로 남성보다 1.9배 많고, 비정규직도 15%포인트 높아 문제다.
여성노동자의 경제활동을 '반찬값' 버는 정도로 치부하는 인식 문제가 그 원인의 하나다.
남녀차별 철폐와 여성 지위 향상을 위해 제정한 3‧8 세계여성의 날이 올해로 116주년을 맞는다.
전북지역 여성들의 경제활동은 과거보다 활발해졌지만 저임금에 시달리며 무급 가사와 돌봄 노동을 떠안은 여성들에 대한 처우는 여전해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전북특별자치도노동권익센터가 최근 공개한 ‘통계로 보는 전북 여성 노동’에 따르면 지난해 도내 여성 노동자의 임금은 205만원으로 남성(314만원)보다 109만원 적었다.
연령대별로 20대 40만원, 30대 68만원, 40대 14만원, 50대 145만원, 60대 이상 94만원의 임금격차를 보였다.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일하는 여성 노동자가 11만1,604명으로 남성(5만8,377명)보다 1.9배 많았다. 뿐만 아니라 비정규직도 남성에 비해 여성이 15.6%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지역 일터에 있는 여성노동자들이 제대로 된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성별임금격차 해소와 돌봄 공공성 강화, 일하는 모두의 노동권 보장 등이 이뤄져야 한다. 무엇보다도 일하는 여성에 대한 가치부여와 인식전환이 시급하다.
도내 여성 노동자 51.3%가 최저임금 노동자에 속하고, 비정규직 여성의 월평균 임금이 남성 정규직 임금의 38% 수준에 불과하지만 여성노동자들의 경제활동은 단순히 ‘반찬값’을 버는 정도로 치부하기 때문이다.
여성노동이 부르짖는 내용 중 하나가 생계에는 성별이 없다는 것인데, 여전히 남성만이 생계부양자로 인식한다,
여성이 돌봄이나 가사 일의 주가 된다고 생각해서인지 가족과 육아에 대한 돌봄은 고스란히 그 몫이 되어버린 상황인 만큼 우리 사회의 인식의 전환과 제도의 개선이 시급하다,
지면 : 2024-03-08 10면
http://sjbnews.com/808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