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기사 작성:  정성학
- 2025년 04월 10일 18시29분

전북 식수원 용담댐에 '수상 태양광 발전소'

환경단체, 사회적 합의를 위한 공론화 촉구
"잘못된다면 130만명이 먹는 상수원 오염"


IMG
지난해 7월 27일 녹조경보가 발령된 진안 용담호 취수탑 주변 모습. 유해성 남조류 세포 수가 기준치를 초과하면서 물빛이 초록빛으로 물들었다.

/정성학 기자





도내 최대 상수원인 진안 용담호에 들어설 대규모 수상 태양광 발전소를 둘러싼 수질 오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유남희·정현숙·이정현·반징수)은 10일 성명을 내고 논란의 수상 태양광 발전 사업자인 한국수자원공사를 향해 사회적 합의를 위한 제대로 된 공론화를 촉구했다.

앞서 전북자치도의 반대로 한동안 주춤했던 논란의 사업은 지난해 12월 전북지방환경청이 소규모환경영향평가를 놓고 사회적 합의를 조건삼아 동의해 주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

20MW급 설비용량을 자랑하는 수상 태양광은 축구장 약 39배(27만㎡) 넓이에 이른다.

환경운동연합은 이를놓고 “용담호 물을 사먹는 도민이 130만 명에 달하는데도 그 의견 수렴이나 사회적 논의 등 공론화는 제대로 된 게 없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수자원공사측은 조건부 협의에 따라 용담호 물을 식수로 쓰는 6개 시·군 순회 설명회를 열어 지자체와 주민들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절차를 거치겠다는 입장이지만, 이는 진정한 의미의 공론화로 볼 수 없다. 사업자가 주도하는 일방적 홍보와 의견수렴 방식은 객관성과 공정성을 담보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특히, “용담호 일대는 개발제한이나 행위제한 등 규제 조치가 최소화 되도록 상수원 보호구역 대신 자율관리지역으로 지정해뒀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회적 공론화 더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빠른 추진이 아니라, 도민의 식수 안전을 지키면서도 에너지 전환이란 시대 흐름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찾는 일”이라며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을 포함한 법적, 제도적인 상수원 관리장치부터 우선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앞서 이 같은 문제는 전북자치도의회에서도 제기됐다.

국주영은(농업복지환경위·전주12) 도의원은 지난달 25일 김관영 도지사가 출석한 가운데 열린 도정질문에서 전북자치도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하기도 했다.

그는 “지난 2019년 수질 오염과 도민건강 피해 우려 등을 문제삼아 용담호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반대했던 전북자치도가 5년만인 최근 찬성하는 쪽으로 전환한 명확한 사유와 이를 뒷받침할 과학적 근거가 있는지 의문스럽다”고 비판했다.

더욱이 “도민들 의견을 수렴할 공론화조차 단 한차례 없었다는 점은 납득할 수 없다”며 “용담호는 전북도민 80%가 마시는 광역상수원인 만큼 수상태양광 설치는 신중에 신중을 기하고 안전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2001년 용담댐 준공과 함께 담수화가 시작된 용담호는 재작년 여름 처음으로 녹조경보가 발령된데 이어 지난해 여름 또다시 발령돼 수질 오염 우려를 키웠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5-04-11     2면

http://sjbnews.com/846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