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북 기업에 다양한 지원 방안 시급
수도권에 집중된 상장기업…전북, 전국'1.3% '초라한 경제'
전국서 하위 7번째로 수도권에 2007개사(72.7%) 밀집
전북특별자치도 내 상장법인의 수가 36개사로 전년 대비 1곳이 증가했다. 하지만 전국 비중은 1.3%에 불과하다.
상장법인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여전히 심각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업들의 상장 활성화와 함게 다양한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전국 상장법인 7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된 반면 전북 지역 상장기업은 미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상장기업 유치·육성 대책이 필요하다.
전북상공회의소협의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북 상장법인은 전년 대비 1개사 증가한 36개사로, 전국 비중의 1.3%에 불과했다.
이는 17개 광역단체 중 하위 7번째에 해당한다. 도내 상장법인은 코스피 13개사, 코스닥 20개사, 코넥스 3개사로 구성돼 있다.
전국적으로는 모두 2,761개 상장법인이 존재했다. 서울 1,107개사(40.1%), 경기 805개사(29.2%), 충남 109개사(3.9%) 순으로, 수도권(서울·경기·인천)에 2,007개사(72.7%)가 밀집했다.
전국적으로는 전년 대비 76개사가 증가했으며, 18개 시·도(해외 포함) 중 12개 지역에서 증가세를 보였다. 경기(33개사), 서울(22개사), 대전(9개사)이 두드러진 성장세를 기록한 반면, 그외 지역은 소폭 변동에 그쳤다.
전북은 광주에서 김제로 본점을 이전한 (주)디에이치오토넥스(코스피, 통신 및 방송장비 제조업)와 강원에서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로 이전한 세븐브로이맥주(주)(코넥스, 알코올 음료 제조업)가 새롭게 유입됐다. 그러나 전주시 소재 (주)카이바이오텍(코넥스, 의약품 제조업)이 상장 폐지되면서 최종적으로 1개사 순증에 그쳤다.
시군별 분포를 살펴보면, 군산시와 익산시가 각 9개사로 가장 많다. 이어 완주군 7개사, 전주시 4개사, 정읍시 3개사, 김제시 2개사, 장수군과 부안군이 각 1개사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분야가 10개사로 가장 많다. 화학·의약품(8개사), 음식료(5개사), 자동차·운송(4개사), 금속·기계 및 금융(각 3개사), 종이·플라스틱·소매업이 각각 1개사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상장은 자금 조달을 용이하게 하고 기업의 신뢰도와 인지도를 높이며 우수 인재 확보에도 유리하다. 상장기업이 늘어날수록 지역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는 만큼, 상장을 희망하는 기업에 대한 지원과 인센티브를 적극 강화해야 하는 까닭이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면 : 2025-05-12 8면
http://sjbnews.com/849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