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28일 17:54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여야, 선거구 획정 진통…전북 10석 유지 관심

국회 정개특위 선거구획정위 권고안 거부 입장 밝혀
여야 간사단 입장 피력 후 지역 특례 적용 등 논의 본격화
민주당 전북 10석 유지 기존 입장 재확인, 2일 정개특위 전체회의
이르면 설 전, 중순깨 선거구 획정안 국회 본회의 통과 전망


기사 작성:  강영희 - 2024년 02월 01일 17시16분

22대 국회의원 총선거를 앞두고 전북의 선거구 논의가 급물살을 탈지 주목된다.

전북의 경우 10석 유지 여부가 최대 관건으로 의석수에 따라 전주와 군산, 익산을 제외한 도내 11개시군의 경계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우선 국회 정개특위는 최근 전북을 9석으로 줄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국회의원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권고를 반대한다는 입장을 견지한 것으로 감지된다.

또 서울 종로구와 중구를 합치거나 강원 춘천을 춘천시 갑·을로 단독 분구하고 속초·철원·화천·양구·인제·고성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는 권고도 따르지 않기로 했다.

결과적으로 인구 소멸 위기 속에서 지역의 대표성을 사실상 고려하지 않은 선관위의 획정안을 거부한 셈이다. 전북 정치권은 지속적으로 민주당 지도부와 연대해 10석 유지 당위성을 강조해 왔다.

여당은 야당 텃밭인 전북의 경우 인구 기준을 통해 9석으로 축소하는게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의 반대 입장이 거세 이 같이 거부 의사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해 국회 정개특위는 2일 오후 2시 국회 운영위 전체회의실에서 선거구획정안을 논의할 방침이다. 다만 선거구획정의 결정권은 사실상 여야 원내대표 등 원내 지도부가 갖고 있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쉽게 말해 선거구 획정의 큰 틀 뿐만 아니라 쟁점사항을 양당 원내대표가 정리하게 되는데 양 당 지도부가 합의한 최종 획정안을 정개특위가 획정위에 넘기면 검토 후 정개특위와 법사위 의결을 거쳐 2월 본회의에서 처리한다.

전북의 경우 10석 유지를 위해 부산 혹은 서울 강남 지역의 의석수 통폐합 필요성을 견지해 왔다. 전북의 경우 특례 적용 및 시군 지역 조정에 따른 전북의 10석 유지 여부가 핵심 이슈가 될 전망이다.

민주당 정개특위 위원으로 보임돼 활약 중인 이원택 의원은 인구 하한선에 미달한 김제부안 선거구 유지를 위한 방안으로 전주 조촌동 지역 인구 흡수를 제안해 왔다.

또한 전북의 영토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는 완주진안무주장수와 남원임실순창을 조정하는 작업도 총선 핫이슈가 된지 오래다. 후보들의 출신 지역과 선거구획정 결과에 따른 이해 관계가 뚜렷이 갈리기 때문인데 획중 후에도 논란은 지속될 전망이다.

인구 하한선에 크게 못미치는 남원임실순창 지역을 분리해 남원진안무주장수와 완주임실순창으로 재편하는 1안과 인구가 다소 여유로운 완진무장의 장수를 떼어서 남원임실순창장수, 완주진안무주 선거구로 획정하는 2안이 정치권 안팎에서 논의중이다.

해당 지역 유권자 및 도내 정치권의 주요 인사들은 2개 선거구의 획정 결과가 총선 경쟁 구도 자체를 휘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정개특위 관계자는 “유권자와 예비후보자의 혼선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최대한 현행에 가깝게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중론이다. 특례 선거구, 선거구별로 분구 대상 및 합구 등 여야 원내대표 간 추가로 협상해야 할 부분이 남아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 = 강영희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강영희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