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18일 19:27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한국유교문화진흥원, '한국유교문화' 제2집 논문 공모



기사 작성:  이종근 - 2024년 02월 18일 14시21분

IMG
한국유교문화진흥원이 다음달 22일까지 정기학술지 '한국유교문화'제2집 논문을 모집한다.

한국유교문화는 연 2회 발간되며, 향후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더불어 매년 선정된 우수 논문을 영문번역하여 한국유교문화의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널리 알리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지난해 말(11.30)에 발간된 한국유교문화 창간호는 '고려 문종대 사면 실시와 의미', '퇴계 이황의 호남(전북) 학맥', ' 16세기 고청 서기 문인의 가계와 네트워크', '조선 후기 정치사에서의 시비, 의리 문제', '연재 송병선의 생애와 학문세계', '试析荀子的礼制主义理念(순자의 예제주의 고찰)' 등 다양한 주제의 논문이 실렸다.

올해 '한국유교문화' 제2집 모집 논문 대상은 유교문화와 관련된 철학·사학·한국학·동아시아학 분야 전반에 관한 내용으로 발표한 적 없는 새로운 연구 주제를 다룬 학술논문이다. 투고 마감은 다음달 22일까지이며, 학계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들의 엄정한 심사를 거쳐 학술지 게재 여부를 결정한다.

정재근 한유진 원장은 “'한국유교문화'는 국내외 유교문화 연구를 중심으로 ‘K-유교’의 현대적 의미를 모색하는 종합학술지를 지향한다”면서 “유교문화와 한국학을 넘어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인문학·정신문화 콘텐츠 연구의 마중물이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한국유교문화' 제2집 논문투고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https://ikcc.or.kr) 공지를 참고해 논문투고시스템으로 접수할 수 있으며, 게재 확정된 논문에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한다. '한국유교문화' 제2집은 4월 말 발간 예정이다./이종근기자







■ 이종근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설날,추석.대보름,한식,단오 및 각종 명절, 24절기,문중제사.가족제사! 윤진한(2024.02.19 16.56)
Royal 성균관대(국사 성균관자격), Royal 서강대(세계사의교황반영, 교황윤허로 설립이 기획되어, 국제관습법상 성대다음 Royal대 예우). 성균관대(양반대학)와 서강대(가톨릭계 예수회의 귀족대학)만 Royal대며, 일류.명문임. 그리고 주권.자격.학벌 없는 경성제대 후신 불교 Monkey서울대(일본 불교僧 점쇠 천황이 세운 불교 마당쇠 대학). 한국에 무종교인은 없습니다..5,000만 모두가 유교국 조선의 한문성명.본관 가지고, 유교교육 받고, 윤진한(2024.02.19 16.56)
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 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고려 국자감은 고려말에 성균관이 되고, 조선 성균관, 해방후 성균관대로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학과에 상관없이 무슨학과든지 Royal 성균관 윤진한(2024.02.19 16.55)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2차대전이후, 싱가포르와 대만(차이니스 타이페이라고도 함, 정치적 문제와 별개로,대만도 유교를 믿음)까지 합쳐 전세계 십수억명 유교도가 존재함.@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 윤진한(2024.02.19 16.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