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7월25일 14:42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사설]새만금 해수 유통 목소리, 귀담아 들어야



기사 작성:  새전북신문 - 2025년 04월 17일 16시45분

정부와 전북도가 새만금호 담수화를 통해 1~2급수에 해당하는 생활용수를 제외한 공업용수와 농업용수로 공급하겠다며 수질개선에 지난 20여 년 동안 막대한 예산을 쏟아부었다. 한데도 방조제 준공 이후 수질이 급격하게 악화하자 담수화를 포기한 상태다.

이 때문에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담수화 대신 해수 유통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하지만 부분 유통에도 수질이 개선되지 않자 전면적인 해수 유통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해양정책학회가 새전북신문과 함께 17일 전북대에서 가진 새만금 전문가 토론회에서도 이 같은 주장이 주를 이뤘다.

주제 발제에 나선 권봉오 군산대 교수, 오창환 전북대 명예교수, 류종성 서경대 교수 등은 이구동성으로 “현재와 같은 제한적 해수 유통으로는 수질개선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해수 유통을 확대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특히 “부분적 해수 유통으로는 해수면의 수질을 개선할 수는 있지만, 심층수와 해저퇴적물의 오염을 막을 수 없다”고 단언했다.

전면적으로 해수를 유통하면 새만금 일대의 생태계가 복원되고 수산업이 복원돼 매년 수천억 원의 수입 증대 효과도 거둘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오창환 교수는 또한 현재 추진 중인 수변도시 규모를 크게 줄이고, 산업단지 위주의 개발보다는 영농형 태양광을 중심으로 한 RE100 분산전원특구를 조성하여 수익도 올리면서 새만금 이차전지 산단에 공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지난 2001년부터 20년 새만금 수질개선에 쏟아부은 예산은 무려 4조5,534억 원에 달한다. 하지만 2010년 방조제 준공 후 수질이 급속히 악화하면서 목표 달성에 실패하자 담수화를 전격 포기했다. 하지만 수변도시나 관광단지 등 내부 개발을 추진하려면 악취나 부유물이 적은 3~4급수 수준은 유지돼야 한다는 판단으로 부분 해수 유통과 함께 오는 2030년까지 1조6,875억 원 규모의 3단계 수질개선 사업을 추진 중이다.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제안을 사업반대로만 치부할 일이 아니라 진지한 태도로 경청해야 하는 이유다.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새전북신문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