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23일 19:57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한국 영화의 주변부에 있던 영화 담론을 중심으로 소환

최은영, '한국 영화의 안과 밖'

기사 작성:  이종근 - 2025년 05월 08일 09시48분

IMG
'영화로 읽는 지역, 여성, 재난-한국 영화의 안과 밖(지은이 최은영, 펴낸 곳 곰곰출판)'은 지역, 여성, 재난이라는 키워드로 한국 영화의 주변부에 있던 영화 담론을 중심으로 소환한다.

이 책은 1950년대 반공 영화 '피아골'에서부터 1960년대 한국 최초의 여성 판사의 죽음을 영화화한 '여판사', 2020년대 포스트휴먼을 주인공으로 한 '서복'과 '정이'까지 한국 영화사에서 지역, 장르, 인간의 경계를 넘나든 작품을 비평자의 시각으로 읽어낸다.

1부는 한국 전쟁기 북 지역에서 시작된 지역 영화 산업을 지역의 안에서 조망해 본다. 한국 전쟁 중 영화인들이 피난 간 도시 ‘전주’. 전주는 전쟁 중에도 매일 영화가 상영된 도시이다. 피난 온 영화인들은 다방에 모여 지역 예술인들과 교류하며 영화를 만들었다. 근대문화유산으로 선정된 영화 '피아골'은 바로 그 결과이다.

2부는 소문과 영화, 구술생애사의 서사화 과정을 통해 영화의 경계를 넘나든 작품을 살펴본다. 여판사의 독살이라는 희대의 사건을 영화화한 '여판사'는 1960년대 공적 영역에 진출한 여성의 가정 내 갈등이라는 소문을 영화로 만들었다. 또한 모녀 관계에서 이루어진 구술 작업을 서사화한 작품 '내 어머니 이야기', '나는 엄마가 먹여 살렸는데'는 시대와 세대를 연결한다.

3부는 포스트휴먼을 다룬 영화 '서복'과 '정이', 비인간 주체의 시점으로 만들어진 영화 '카우'와 '당나귀 EO;를 통해 경계를 횡단하는 재난을 벗어나는 방법을 모색한다.

지은이는 문화예술인. 영상문학 연구자이다. 영상이론과 현대소설을 전공하고, 영화와 문학, 영화와 지역, 영화와 대중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독립연구단체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지역·여성·대중문화를 연구하고 강의한다.

작가가 운영하는 영상문학·문화연구소는 한국 영화를 매개로 지역, 여성, 문학, 대중문화를 연결하고, 분석하고 있다. 현재 전북 지역 영화사를 지역 신문 자료로 정리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이종근기자











■ 이종근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