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16일 17:31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기억 속의 전북 여성 농악을 끄집어내다

여성농악 예인 구술집 `향기조차 짙었어라' 발간




 



기억 속에 묻혀있던 전북 여성농악이 한 권의 책으로 부활했다.

여성농악 예인 구술집 ‘향기조차 짙었어라(민속원)’는 여성농악 최초의 상쇠 장홍도, 예인 김정화, 국악 엔터테이너 오갑순, 장구스타 배분순, 열두발상모 박복례, 판소리 명창 안숙선, 상쇠 이희숙, 호남우도농악 상쇠 나금추, 사업부장 김수덕, 소고잽이 노영숙 등 10인의 구술이 사진 자료와 함께 실려 있다. 

이 책은 1960년대 여성농악단원으로 활동했던 노영숙이 기획했고, 전북대학교 국문과 강사 권은영이 채록 편집하고 해설을 덧붙였다. 

구술자들은 1950년대 말과 1960년대에 <남원여성농악단>과 <춘향여성농악단>의 단원으로 활동했던 이들이다. 

<남원여성농악단>은 최초의 여성농악단으로, 1959년 남원국악원에서 만들어졌다. 김영운, 강도근, 주광덕 등 판소리 명창들과 남원의 국악 동호인들이 참여, 단원들의 교육과 단체 운영을 맡았다. 

<춘향여성농악단>은 이보다 1년여 늦게 만들어진 단체로, 명창 강도근의 여동생 강선화가 단장을 맡았다. 명창 강도근과 대금 명인 강백천, 정읍농악 꽹과리 명인 전사종, 장구 명인 김병섭, 채상소고 명인 정오동 등이 단원들을 교육했다. 

오갑순, 안숙선 등은 <춘향여성농악단>의 스타였으며 호남우도농악의 상쇠 나금추도 수습을 떼고 이 단체에서 처음 상쇠가 됐다. 안숙선의 외가 어른들이었던 강선화, 강도근, 강백천은 요즘 연예기획사의 트레이너들처럼 소녀들을 당대의 농악연예인, 국악연예인으로 성장시켰다.

1회 전국농악경연대회와 2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대통령상을 받기도 했던 여성농악단은 전국 각지를 돌며 공연을 했다. 

구술에 따르면, 창경궁에서는 광목 스물한 통을 둘러쳐 200평의 가설극장을 만들었고 일곱 군데에서 매표를 했다. ‘보루박꾸로 돈을 담다가 안 돼서 베가마니를 갖다가 돈을 발로 밟아서 놓을’ 만큼 여성농악의 인기는 높았다. 여성농악을 보겠다고 모인 사람들이 얼마나 빽빽하게 들어찼던지 상모 돌리던 이의 눈에는 사람들이 ‘잘잘한 개미’같이 보였다.

이같은 옛 기억을 한권의 책으로 발간해야 겠다고 기획한 사람은 1960년대 중반 <춘향여성농악단>의 소고잽이로 활동했던 노영숙이다. 그녀는 강백천 일가와 함께 지내며 어린 시절을 보냈고 단체의 해산도 지켜보았다. 1970년 일본 오사카 EXPO의 한국예술단으로 선발, 전사섭, 유지화 등과 공연을 했으며, 이후 박귀희 단장의 <한국민속가무예술단>의 단원으로 일본 순회공연을 한 바 있다. 

‘여성농악단 연구’(신아출판사, 2004)를 발행한 바 있는 농악연구자 권은영이 노영숙과 협업,책을 완성했다. 

2018년 전북문화관광재단 문화예술기반구축지원사업에 선정, 출판비를 지원받았다./이종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