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16일 17:31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주 탄소산단 조성 끝내 무산

예비타당성 심사 탈락, 경제성 낮아
전주지역 최대 현안인 탄소산단 조성사업이 무산됐다.
전주시는 4일 문제의 탄소섬유 전용 국가산단 조성사업안이 정부 예비타당성 심사를 통과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경제성(B/C)은 물론, 정책적 판단을 합산한 종합평가(AHP)에서도 기준치를 밑돈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핵심인 경제성은 0.97을 받아 기준치(1)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정책적 판단을 합산한 종합평가 결과도 마찬가지로 기준치(0.5)에 미달되는 0.446이 나왔다.
조봉업 부시장은 “지난 주말 국토부로부터 이 같은 결과를 확인했다”며 “올 연말께 최종 보고서가 나오면 그 문제점이 뭔지 재 검토해 내년 상반기 중 예비타당성 심사를 다시 신청하겠다”고 말했다. 또, “첫 평가에서 0.85에 그친 경제성을 끌어올리는데 주력한 결과 2차에는 0.91, 그리고 3차에는 기준치에 근접한 0.97까지 높여놨지만 결과적으론 통과하지 못해 아쉽다”고도 강조했다.
내년도 재 심사에선 통과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전주시측은 이를위해 사업안을 전면 재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사업 규모를 적정 수준으로 축소하겠다는 게 핵심이다.
앞서 전주시와 LH공사가 손잡고 추진해온 이 사업은 전주 동산동 일원에 약 83만㎡(25만평) 넓이의 국가산단을 건설토록 계획됐었다. 사업비는 2,300억 원대로 추산됐다. 정부가 2년여 전 선정한 전주지역 특화산업이자, 송하진 도지사와 김승수 시장의 핵심 공약이기도 하다.
한편 전북도와 전주시, 경북도와 구미시 공동사업인 탄소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안에 대한 예비타당성 심사결과도 빠르면 이달 말께 나온다. 이 가운데 전주에는 메가탄소밸리를, 구미에는 융복합탄소성형 부품산업클러스터를 조성토록 구상됐다.
앞서 이또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중간 심사결과가 나오면서 사업안이 대폭 축소 조정됐다. 사업비로 환산하면 당초 4,500억 원대에서 1,800억 원대로 줄었다.
/정성학 기자 csh@sjb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