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2025년05월23일 19:57 회원가입 Log in 카카오톡 채널 추가 버튼
IMG-LOGO

전북 기술창업 전국 최저, 4차 산업혁명 역행

전체 창업 대비 비중 11.6%, 타 지방과 달리 거꾸로 감소세
낙후된 산업구조 재편할 기술창업 모델 개발에 관심 가져야


기사 작성:  정성학 - 2025년 05월 06일 14시56분

IMG
최근 집집마다 로봇 청소기가 대거 보급되고 키오스크에 이어 서빙 로봇까지 도입하는 음식점도 많아지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너도나도 스마트공장 시스템을, 농업인들 또한 스마트팜이나 자율주행 트랙터 등을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기술이 세상을 변화시키는 4차 산업혁명이 일상에 파고 들면서 나타난 변화들이다. 하지만 전북지역 창업인들은 이 같은 시대적 흐름과 달리 여전히 기술창업에 대한 관심이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나라살림연구소가 최근 펴낸 데이터 리뷰 ‘기술창업 및 폐업률 현황 분석 및 제언’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으로 촉발된 디지털화와 정보통신기술 발달, 특히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서비스와 원격근무가 일상화되는 등 사회환경이 급변하면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창업시장도 후끈 달아올랐다.

실제로 국내 전체 창업사례 중 기술창업 비중은 2020년 약 15%에서 2021년 17%로 뛰었고 2023년에는 18%에 육박하는 등 급속한 증가세를 보였다.

이 가운데 서울은 최근 3년간(2021~23년) 기술창업 비중이 평균 21.5%를 기록했고 세종과 경기 또한 각각 19.9%와 19.2%를 보였다. 울산과 경남도 각각 16.9%로 상위권을 형성했다.

반면, 같은 기간 전북지역 기술창업 비중은 전국 평균과 거리가 먼 11.8%에 그쳤다. 이는 전국 17개 시도 중 강원(11.6%)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다.

더욱이 전북은 2021년 12%에서 2022년 11.7%로 뒷걸음질 쳤고 2023년은 전국 최저인 11.6%까지 추락하는 등 갈수록 기술창업 비중이 더 낮아지는 특징마저 보였다.

여기에 지방정책을 책임지는 지자체의 관심 또한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도내 15개 지자체 중 기술창업을 장려하는데 필요한 지방조례를 제정한 사례는 전북도와 전주시 단 2개에 불과했다. 이마저도 각각 지난해 10월에서야 제정했다.

게다가 기업인증, 창업교육, 자금지원 등 기술창업을 촉진할만한 구체적인 내용을 별도의 조항으로 규정하지 않아 사실상 선언적 의미에 가깝다고 진단됐다.

그만큼 전북 경제산업은 시대 흐름에 뒤떨어지고 다른 지방과의 격차 또한 한층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됐다.

김민수 책임연구원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는 지역경제 활력 저하로 이어져 창업 생태계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구감소 시대에 대응해 기술창업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기술창업 모델을 발굴하는 게 중요하다”며 “이를 통해 지역의 경제적, 인구적 활력을 유지하고 산업 재구조화 계기로도 삼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려면 “각 자치단체는 지역별 강점과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기술창업 지원 정책을 수립하고, 대학과 연구기관과 기업 등 지역혁신 주체간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기술창업 친화적인 생태계를 조성하고, 지역 내 기술인력 유출을 방지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성학 기자



전북을 바꾸는 힘! 새전북신문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정성학 기자의 최근기사

Leave a Comment


카카오톡 로그인을 통해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